기타자료

광개토대왕릉과 거북섬(금구도:金龜島)

犬毛 - 개털 2012. 11. 6. 08:07

 

광개토대왕릉과 거북섬(금구도:金龜島)

犬毛 趙源善

 

몇 해 전에 화진포 앞 바다에서 보았던 섬. 거북섬. 

지난 백두산 여행 중 집안에서 광개토대왕비와 능(?)을 보고 자꾸만 그 기억이 떠올라서 뒤늦게 나의 국내 여행자료와 사진을 뒤져 다시 정리해 본다.

-------------------------------------------------------------------------------------------------------------- 

 

화진포 앞 바다 거북섬이 광개토대왕릉이라는 주장과 이를 뒷받침하는 고구려 연대기가 발견되어 비상한 관심.

 

1. 일반적으로 중국 길림성 집안현의 호태왕릉을 광개토대왕릉으로 추정.

2. 금번 발견된 고구려 연대기에 광개토대왕3년(서기394년) 8월경 화진포 거북섬에 왕릉(壽陵) 축조를 시작했으며, 광개토대왕 18년 8월에 화진포의 수릉축조 현장을 대왕이 직접 방문한 것으로 기록.

3. 광개토대왕 서거한 이듬해인 장수왕 2년(서기414년) 9월 29일 화진포 거북섬에 광개토대왕의 시신 을 안장했다고 기술.

4. 광개토대왕릉수비대가 왕릉을지켰고, 계림(신라) 군사와 수비대의 잦은 분쟁이 있었다고 표기.

5. 문자명왕2년에 이곳에서 광개토대왕의 망제(望祭)를 지냈다는 기록이 발견됨.

 

얼마 전 백두산 여행 때 길림성의 호태왕릉에 들렀으나 중국 당국의 허술한 관리로 분통을 참지 못하고 함께 간 여행객들에게 이런 학설도 있노라고 내가 여기 금구도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 적이 있음.

 

또한 고구려 연구가 오종철씨의 저서 ‘다시찾은 고구려정사(正史)’‘고구려본기 신주해(하)’에서 “○○忽“이라는 지명은 고구려의 왕릉 또는 왕비능이 있는 지명이라고 밝히고 이를 근거로 고구려 왕릉을 직접 확인한 사실이 있다고 함.

이 지방의 옛 지명인 ‘가라홀(加羅忽, 加阿忽)’,‘달홀(達忽)’에는 왕릉이 있고, 그곳이 바로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초도리 산1번지 거북섬(金龜島)이라는 주장.

그의 주장에 따르면 현재 양호하게 남아있는 석성의 잔해는 능의 보호벽(城)과 방파성(防波城)의 흔적이며, 산정부근의 와편과 주초석의 잔해는 능의 사당이라고 설명함.

 

화진포 거북섬의 광개토대왕능이 설득력을 갖는 것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주몽의 건국기와 광개토대왕비문에 의하면 고구려의 시조 주몽(朱蒙)은 거북이의 도움으로 큰 강을 건너 고구려 건국의 동력이 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어 거북이는 일종의 고구려 수호신을 의미한다는 것.

그리고 고구려의 고국원왕이 부왕인 미천왕의 시신을 전연(前燕)에 빼앗겼다가 다시 찾아와 백천과 신계에 왕릉을 구축하고 그 곳에 부왕의 시신을 다시 모시고 자신의 수릉도 만들게 되면서 반도 내에서 왕릉길지를 찾고 보호하는 것이 고구려왕의 중요한 역사(役事)로 인식되기 시작했던 것으로 추정.

광개토대왕 역시 고구려의 영역을 크게 확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내정의 정비에도 노력하여 장사(長史)·사마(司馬)·참군(參軍) 등의 중앙 관직을 신설했는가 하면, 역대 왕릉의 보호를 위해 수묘인(守墓人)제도를 재정비.

그리고 즉위 3년에 반도 내 길지에 수능(壽陵)의 축조를 시작했고, 광개토대왕이 서거한 이듬해 장수왕 2년에 화진포 거북섬에 안장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

 

2000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행한 <문화유적지표 조사보고서>에는 화진포 거북섬을 금구도성지(高城金龜島城址)로 표시하고 있고, <대동지지(大東地志)>에 '초도고성(草島古城)'으로도 명기되어 있다고 함. 일제 때의 조사자료 <조선보물 고적조사자료>에 의하면 '현내면 초도리 국유 초도리 마을의 동방 약 이백 간(368m)의 해상 금구도에 있고 연장 약 백이십 간(218m) 대부분 토축 불완전'이라 되어 있음. 이 조사에서 확인한 성의 구조는 2중 구조로 되어 있는데 섬의 정상부인 약 45m 높이의 고지를 중심에 두고 해안선의 자연 지형을 따라 화강암을 이용 석축으로 축조하고, 성벽 상단은 삭토하여 환도를 개설한 흔적이 200여m 가량 뚜렷이 남아 있음. 이와 연하는 북쪽의 암석 저지대는 잔돌끼움 쌓기의 협축법으로 석축한 불연속의 (추정)외성이 3개 구간에 남아 있음. 현재 잔존하여 있는 길이는 약 60m, 높이 170~230㎝, 협축 벽간 거리 약 350㎝. 해송 군락이 있는 부근에서 확인된 건물지(建物址)는 전죽이 우거져 정확한 규모를 알 수 없으나, 건물의 주초석(50cm× 50cm)과 기와편, 토기편들이 확인됨. 유물 및 성벽의 축조기법으로 보아 북방 세력의 남하, 빈번한 왜구의 침입에 대비한 열산현(烈山縣)의 수성처(守城處)로 추정된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석성의 외벽이 육지를 향하고 있어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한 시설이라는 것 보다는 내륙 침입자로부터 왕릉을 보호하기 위한 석성으로 보는 것이 옳음.

 

고구려사 연구의 새로운 계기가 될 이와 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학계와 문화재 전문가의 정확한 유적조사와 고증을 통해 화진포 거북섬(金龜島)을 광개토대왕릉으로 밝혀 사적지화 하고 성역화 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봄.

--------------------------------------------------------------------------------------------------------------------

 

백두산 여행 중 집안의 광개토대왕비(호태왕비)와 능을 보았을 때, 비는 잘 정리하고 관리하는 반면 능은 거의 방치하다시피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 울분이 솟았는데 깊이 생각해보니 이 능이 혹여 광개토대왕의 진짜 능이 아니지 않느냐? 하는 의문이 떠오른다. 비는 잘 관리하고 삼엄하게 경비까지 서면서도 능은 바로 그 옆인데도 다 부서져가도록(?) 전혀 관리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 까닭은 무엇일까?  보수도 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  전문적 탐사나 유물의 발굴 등 그들의 조사 결과로 이 능이 광개토대왕의 가묘로 판명되었으나 동북공정이나 기타 역사적 왜곡의 걸림돌이 되기 때문에 밝히지 않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런 의문이 꼬리를 문다. 

이것이 비전문가인 나의 가설로만 끝나지 않기를 기대한다.

 

역사적 자료와 현실의 여러 사실들을 종합하여 볼 때 중국의 엄청난 음모인 동북공정 왜곡역사에 맞서서 도대체 우리 대한민국 관계당국은 현재 거북섬을 그대로 방치한 채 무엇을 하고 있는 지 참으로 답답하다. 어서 빨리 위대한 우리 조상들의 찬란한 역사와 업적을 분명히 밝혀 우리민족의 앞날을 환히 비추어야 할 것이다. 

 

* 퍼온 자료(사진 속 설명 참조)와 일부 본인의 의견이며 아래는 본인이 직접 촬영한 사진들.

*사진

                                                                고성  화진포 앞바다의 거북섬

 

현장 안내판의 설명

                                                          

                                                       중국 집안의 호태왕비(광개토대왕비: 관리를 잘 함.경비원 상주.)와 아내

 

 

중국이 주장하는 호태왕릉으로 오르는 목조 계단(보수가 필요할 정도로 낡아 삐꺽거림))

                                  

                                             호태왕릉의 입구(철문짝도 비틀어져있고 관리도 안 해서 녹 슬고 기울고.......)

 

<1211>